좋은 칼럼113 두 대통령 이야기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504262102535&code=990308&med_id=khan#165003 [정동칼럼]두 대통령 이야기 기사입력 2015.04.26 오후 9:02 최종수정 2015.04.26 오후 9:22 두 대통령이 만났다. 두 대통령이 모두 여성이라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두 대통령의 인생 여정이 닮은꼴이라며, 유수 언론들이 경쟁적으로 보도했다. 두 대통령이 다정하게 머리를 모은 사진도 곁들여졌다. 한 대통령은 전직 소아과 의사였다. 두 번 이혼했고, 세 자녀 중 한 명은 미혼모 상태에서 낳았던 싱글맘이다. 젊은 시절, 군사독재정권에 저항하다 국외로 추방돼 망명 생활을 했다. 공군 장성 출신인 그녀의 아버지는 군사 쿠데타에 반대하다가 형무소에서.. 2015. 4. 28. 박근혜, 성완종, 세월호 http://mnews.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17572720 [권석천의 시시각각] 박근혜 대통령의 72시간 입력 2015-04-13 오전 12:05:00 수정 2015-04-13 오전 12:15:21 권석천 사회2부장 여자가 한을 품으면 서리가 내린다지만 남자의 복수는 더 집요했다. 전 경남기업 회장 성완종씨는 지난 9일 북한산에 오르며 메모와 통화 녹취록을 남겼다. 그의 죽음 후 우리 눈앞엔 가소로운 풍경들이 펼쳐지고 있다. 이완구 총리는 성씨 메모에 이름이 등장하자 “성 회장의 오해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최근 성 회장이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와 총리 담화가 관련 있는 것 아니냐고 오해하고 있다는 주변의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총리실 입장.. 2015. 4. 15. 금융분야 직장에 대한 상반된 생각 왜 하버드 대학 교수는 학생들이 금융 분야에서 직장을 잡는 것에 대해서 두 가지 상반된 생각을 갖고 있을까? tags : #금융, #사회적 혜택, #재능 배분, #지대추구 행위, #차익거래 2015년 4월 14일 | By: arendt | 경제 | 2 Comments * 옮긴이: 이 글은 하버드 대학 경제학과 교수 샌딜 뮬레이네이썬(Sandhil Mullainathan) 교수가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글입니다. 매년 이 맘때의 하버드 대학 교정은 달콤쌉싸름한 느낌을 주는 시기입니다. 대학 졸업반인 4학년 학생들이 직장을 찾는 시기이고 이들의 선택은 저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가장 똑똑한 학생들 중 많은 이들은 암을 연구하거나 다음 세대를 가르치고 영감을 줄 수 있는 직업, 혹은 공공 분야의 일자리를 .. 2015. 4. 15. 한병철- 자유는 자본이 권장한 것, 내 욕구라 착각말라 http://hankookilbo.com/v/9caf4328030645898d3861ebb7730021 "자유는 자본이 권장한 것, 내 욕구라 착각말라" 신작 ‘심리정치’ 낸 한병철 교수 김혜영 기자 수정: 2015.03.02 23:09 등록: 2015.03.02 18:00 스마트폰-모바일 고해실, 좋아요는 디지털 아멘, 페이스북은 디지털 교회 신자유주의 힘 안 들이고 착취… 지혜로운 바보가 돼야 한병철 교수가 밝힌 신간 ‘심리 정치’의 모토는 현대미술가 제니 홀저의 명언 “내가 원하는 것에서 나를 지켜줘”이다. 한 교수는 “우울증, 소진증후군 같은 심리적 질병은 자유가 직면한 깊은 위기를 보여준다”고 말한다. 문학과 지성사 제공 사고 싶은 것을 사고, 하고 싶은 것을 하는 상태가 자유로 간주된다. 각자.. 2015. 3. 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