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선거

총선 대선의 부산 경남 영향

by 아잘 2011. 9. 14.

경향닷컴 홈으로 이동

선거
총선·대선, 부산·경남에 물어보라
최우규·송윤경 기자 banco@kyunghyang.com
  • 글자크기
 
ㆍ성난 민심, 한국 정치의 새 캐스팅보트로 주목

부산·경남(PK)이 한국 정치의 ‘캐스팅보트’를 쥘 지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내년 총선 제1당과 대선의 향배는 PK에게 물어보라는 정치 분석이 이어진다. 민생·경제적 어려움에다 대구·경북(TK)의 인사독주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49)과 박원순 변호사(55) 등 이 지역 출신의 정치무대 진출이 이어지면서 PK의 정치적 요동이 커진 것이다.

PK 유권자는 17대 대통령 선거 기준 605만명으로, 전체의 16.1%다. 경기(822만명)·서울(805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고 TK, 호남, 충청의 1.5배 이상이다. PK에서 표를 절반 획득하면 다른 지역에서 80% 싹쓸이한 것과 진배없다. 이상돈 중앙대 법대 교수(59)는 13일 “PK는 전통적 야도(野都)였다”며 “3당 합당 이후 TK에 묻어갔지만 그 효능은 떨어졌고, 지난해부터 그 변화가 감지됐다”고 말했다.

야당 시절 김영삼 전 대통령은 이 지역에 근거해 ‘3김 시대’의 한 축이 됐다. 그가 3당 합당을 거쳐 대통령이 된 뒤에도 이곳은 TK처럼 여당에 압도적 지지를 주지는 않았다. 1997년 15대 대선 때 이인제 후보, 2002년 16대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가 30% 안팎의 지지율을 얻었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의 제1 패인이었다.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52)가 당선됐고, 부산에서도 범야권 단일후보인 민주당 김정길 후보(66)가 44.6%를 얻는 돌풍을 일으켰다.

이런 변화를 초래한 이유로 김형준 명지대 교양학부 교수(54)는 “동남권 신공항 무산과 이명박 정부의 TK 위주 인사가 PK에 지역적 박탈감을 안겼다”고 말했다. 여기에 민생 문제가 겹쳤다. 통계청의 ‘올 2·4분기 소비자물가 비교’를 보면 부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경남은 4.4% 올랐다. 전국 평균 4.2%를 웃돈 것이다. 부산은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지난해와 올해 고용률(15세 이상 생산 가능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이 가장 낮았다.

정치평론가 고성국씨(52)는 “PK는 서울·수도권과 달리 지난 20년 내내 사회·경제 측면에서 내리막을 걸었다”면서 “하지만 여당 출신 정치지도자들은 시민들이 기대하는 만큼 역동적 모습을 보여주지 못해, 저변에서 ‘바꿔보자’는 분위기가 생겨났다”고 말했다.

PK 출신 정치인들의 부상도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안철수 원장과 야권이 영입하려 하는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46)는 부산이 고향이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52)은 경남 거제에서 출생해 부산에서 변호사 활동을 했고, 박원순 변호사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났다.

김형준 교수는 “어느 지역이든 대표 정치인이 누구인지에 따라 변하게 돼 있다”며 “김영삼 전 대통령이 그랬듯 부산을 대표할 정치인이 누구냐에 따라 지역 정서도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