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395 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 정황상, 꼬리자르기라고 믿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 과연 이 사건을 검찰에서 제대로 수사할른지도 미지수인걸 보면, 결국 수사는 산으로 가지 않을까... 지금 수사의 방향이 계속 디도스 사건에만 집중되어 있는데, 여기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은 디도스 공격이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된 "투표소 이동" 문제다. 누가 투표소를 이동하게 하였는가를 다른 하나의 단서로 시작해서 디도스 공격과 연관지어 수사해야 할 것이다. 선관위 테러는 민주주의에 대한 전면적 부정이라는 면에서 중대한 사건인 만큼, 이 사건은 정말 제대로 수사해야 한다. 미디어 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030 청와대까지 번진 ‘선관위 테러’ 의혹, 몸통 떨.. 2011. 12. 10. 표준편차에서 n-1 쓰는 이유 표준편차를 n 대신 n-1 을 쓰는 이유 고등학교 때까지 분산을 구할 때는 n으로 나누다가 대학에 오니 n-1로 나누는 것을 배웠다. 대체 왜???? 그런 것일까에 대한 뚜렷한 해답을 알고 싶었다. 그 해결의 실마리는 바로... 1. Population 과 Sample의 차이 2. Population의 true mean 을 모른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자~! 차근 차근히 설명해 보자. 여기서 Population과 Sample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Population은 말 그대로 통계적 사실을 얻고자 하는 대상 전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얻고자 하는 통계적 사실이 "2008년 대입 수험생의 하루 평균 공부 시간은?" 에 대한 사실을 얻고 싶다고 하자. 올해 대입 수험생이 55만 9천여명이라고 하니까 정확.. 2011. 12. 6. 폴리테이너와 나꼼수 매일경제 http://mnews.mk.co.kr/mnews_120313.html `나는 꼼수다` 정치인들 너나 없이 기다시피… [WEEKEND 매경] 대중은 왜 폴리테이너에 열광하나? 기사입력 2011.12.03 17:28:15 | 최종수정 2011.12.03 17:28:35 정치와 대중문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유명 연예인이 정치에 참여하는 초기 폴리테이너 시대를 지나 `폴리테이너 2.0` 시대가 왔다는 분석도 있다. `폴리테이너 2.0`은 정치 사안을 매개로 연예인과 일반인들 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특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의 발달로 연예인이 단순히 자신의 정치적 행위를 대변하는 차원을 넘어 대화의 대상으로 접어든 것이다. 그렇다면 대중은 왜 나는 꼼수다의 김어준, 주진.. 2011. 12. 4. 한미 FTA 비준 국회 표결자 명단 한미 FTA 비준 국회 표결자 명단에 네티즌 “매국노…” 디지털뉴스팀 이윤정 기자 yyj@kyunghyang.com 한나라당이 22일 국회 본회의를 비공개로 열어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을 처리한 가운데 표결 의원 명단이 트위터 상에 공개됐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재적의원 295명중 170명이 참석한 가운데 찬성 151명, 반대 7명, 기권 12명으로 비준안을 통과시켰다. 트위터 사용자 @ru…는 ‘국회 표결자 명단’이라는 제목으로 표결 당시 화면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자유무역협정 및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합의’라는 문구와 함께 재적 295인, 재석 170인, 찬성 151인(초록색), 반대 7인(빨간색), 기권 12인(노란색)으로 표시돼 있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의원(찬.. 2011. 11. 23.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99 다음